1. 국립환경과학원, "2021년 대기오염집중측정소 연간 운영결과보고서", 2022.
2. 상의 한, and 용표 김, “서울시 대기 중 초미세먼지 (PM2.5) 질량과 화학성분 농도의 장기 변동 추이”,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15, 31 (2), 143-156.
3. 민주 여, and 용표 김,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 추이와 고농도 발생 현황”,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19, 35 (2), 249-264.
4. 종성 박, 종범 김, 수현 신, 필호 김, 창혁 김, 규철 황, 재영 이, 석연 조, and 정호 김, “안산 도심지 계절별 PM1 화학적 특성”,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2023, 26 (3), 97-109.
5. W. Zhou, W. Xu, H. Kim, Q. Zhang, P. Fu, D. R. Worsnop, and Y. Sun, “A review of aerosol chemistry in Asia: insights from aerosol mass spectrometer measurements”,
Environmental Science: Processes & Impacts,
2020, 22 (8), 1616-1653.
6. 국립환경과학원, "2022년 대기오염집중측정소 연간 운영결과보고서", 2021.
7.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월보 2023년 2월", 2023.
8. 용표 김, “수도권 대기 미세먼지 1999-2008년 추이 분석”, 환경영향평가, 2010, 19 (1), 59-74.
9. 창혁 김, 정호 김, 규철 황, 필호 김, 수현 신, 종성 박, 세찬 박, 가혜 이, 재영 이, and 종범 김, “고농도 PM2.5 발생 시 국내외 영향에 따른 산업단지 인근 지역의 PM2.5 특성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23, 39 (1), 62-76.
10. 인조 황, 승묵 이, and 진수 박, “EPA-PMF 모델을 이용한 집중측정소 24시간 PM2.5 자료에 대한 오염원 기여도 추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20, 36 (5), 620-632.
11. 주애 김, 세희 임, X. Shang, 미혜 이, 경식 강, and 영성 김, “2013~2016년 제주 PM2.5 화학조성 변화 및 고농도 발생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20, 36 (3), 388-403.
12. 근혜 유, 승식 박, 종성 박, 승명 박, 인호 송, 준 오, 혜정 신, 민도 이, 형배 임, 현웅 김, and 진영 최, “겨울 및 여름철 백령도와 서울에서 측정한 PM2.5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18, 34 (1), 38-55.
13. V. Ariola, A. D’Alessandro, F. Lucarelli, G. Marcazzan, F. Mazzei, S. Nava, I. Garcia-Orellana, P. Prati, G. Valli, R. Vecchi, and A. Zucchiatti, “Elemental characterization of PM
10, PM
2.5 and PM1 in the town of Genoa (Italy)”,
Chemosphere,
2006, 62 (2), 226-232.
14. G. Buonanno, M. Dell’Isola, L. Stabile, and A. Viola, “Uncertainty budget of the SMPS-APS system in the measurement of PM1, PM
2.5, PM
10”,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2009, 43 (11), 1130-1141.
15. Y. Li, Q. Chen, H. Zhao, L. Wang, and R. Tao, “Variations in PM10, PM2.5 and PM1.0 in an urban area of the Sichuan Basin and their relation to meteorological factors”, Atmosphere, 2015, 6 (1), 150-163.
16. C. Theodosi, G. Grivas, P. Zarmpas, A. Chaloulakou, and N. Mihalopoulos, “Mas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ize-segregated aerosols (PM1, PM2.5, PM10) over Athens, Greece: local versus regional source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011, 11 (22), 11895-11911.
17. S. Tiwari, D.-M. Chate, P. Pragya, K. Ali, and D.-S. Bisht, “Variations in mass of the PM10, PM2.5 and PM1 during the Monsoon and the winter at New Delhi”, Aerosol and Air Quality Research, 2012, 22 (1), 20-29.
18. J. Han, S. Lim, M. Lee, Y. J. Lee, G. Lee, C. Shim, and L. S. Chang, “Characterization of PM2.5 mass in relation to PM1.0 and PM10 in Megacity Seoul”,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2022, 16 (1), 2021124.
19. 미경 박, 진수 박, 미라 조, 용환 이, 현재 김, 준 오, 진수 최, 준영 안, and 유덕 홍, “PM2.5 자동측정장비 비교 및 정도관리 방안”,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17, 33 (6), 616-625.
20. 현주 배, “서울시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단기노출로 인한 사망영향”,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14, 40 (5), 346-354.
21. 기현 김, 민영 김, 재영 신, 규훈 최, and 창희 강, “PM2.5, PM10, TSP의 시간대별 관측결과에 기초한 황사기간중 분진의 분포특성에 대한 고찰: 서울시의 4대 관측점을 중심으로 한 2001년 봄철 황사 기간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02, 18 (5), 419-426.
23. 찬석 문, “황사 발생과 대기 중 PM10, PM2.5, Cd, Pd 농도의 상관성”,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20, 46 (5), 532-538.
24. 기표 남, 대균 이, and 임석 장, “동아시아 지역의 계절별 기상 패턴에 따른 우리나라 PM2.5 농도 및 기여도 특성 분석: 2015년 집중측정 기간을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2019, 28 (3), 183-200.
25. 태정 이, 민빈 박, and 동술 김, “서울지역 PM2.5 오염원의 시계열적 기여도 평가와 헤이즈의 유형분류”,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19, 35 (1), 97-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