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 Wang, J. G. Slowik, N. Tripathi, D. Bhattu, P. Rai, V. Kumar, P. Vats, R. Satish, U. Baltensperger, D. Ganguly, N. Rastogi, L. K. Sahu, S. N. Tripathi, and A. S. H. Prévôt, “Source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measured by PTR-ToF-MS in Delhi, India”,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020, 20 (16), 9753-9770.
2. Y. Liu, M. Shao, L. Fu, S. Lu, L. Zeng, and D. Tang, “Source profil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measured in China: Part I”,
Atmospheric Environment,
2008, 42, 6247-6260.
3. R. Atkinson, “Atmospheric chemistry of VOCs and NOx”,
Atmospheric Environment,
2000, 34, 2063-2101.
4. Z. Moradpour, F. G. Shahna, A. Bahrami, A. Soltanian, and and G. Hesam, “Evalu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 petrochemical complex in Iran”, Health Scope, 2017, 6 (4), e62595.
5. 건화 정, “산업지구론의 관점에서 본 산업도시 안산의 형성, 발전과 위기”, 지역사회연구, 2006, 14 (1), 49-70.
6. 은경 김, 희봉 송, 민숙 박, 종기 임, 종대 권, 수진 최, 수경 박, and 개희 한, “대구시 산단지역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 대한환경공학회지, 2014, 36 (7), 498-505.
7. 우건 최, 상호 배, 덕신 박, 연구 정, and 태오 김, “구미산업단지 대기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농도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2004, 13 (3), 205-214.
8. 진환 박, 병훈 박, 승호 김, 윤철 양, 기원 이, 석진 배, and 형명 송, “수용모델(PMF)를 이용한 광주산업단지 VOCs의 오염원별 기여도 추정”, 한국환경과학회지, 2021, 30 (3), 219-234.
9. 재연 유, 득수 김, 수천 채, 두천 남, and 양석 최, “서해연안 도시지역의 대기질 특성 연구: 군산시 산업단지와 전주시 도로변에서 VOCs 농도분포 특성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10, 26 (6), 633-648.
10. 종일 최, 항식 박, and 현석 양, “VOCs 삭감을 통한 오존농도 감소의 건강 편익 추정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19 (2), 755-767.
11. 국립환경과학원, 2020년 대기오염집중측정소 연간 운영결과보고서, 2021.
12. 국립환경과학원, 2021년 대기오염집중측정소 연간 운영결과보고서, 2022.
13. 창혁 김, 정호 김, 규철 황, 필호 김, 수현 신, 종성 박, 세찬 박, 가혜 이, 재영 이, and 종범 김, “고농도 PM2.5 발생 시 국내외 영향에 따른 산업단지 인근 지역의 PM2.5 특성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23, 39 (1), 62-76.
14. 종성 박, 종범 김, 수현 신, 필호 김, 창혁 김, 규철 황, 재영 이, 석연 조, and 정호 김, “안산 도심지 계절별 PM1 화학적 성분 특성”,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2023, 26 (3), 1-12.
15. 기상청, 방재기상관측연보, 2022.
16. 재호 안, “시화·반월단지지역의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광화학모델 적용 연구 - 기상특성에 대한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지, 2011, 31 (5), 47-59.
17. 종성 박, 인호 송, 현웅 김, 형배 임, 승명 박, 선아 신, 혜정 신, 상보 이, 정수 김, and 정호 김, “서울지역 여름철 VOCs 일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분석학회지, 2018, 21 (4), 264-280.
18. 가혜 이, 정호 김, 세찬 박, 민영 송, 관철 김, 다솜 이, 우석 최, and 종범 김, “천안도심지역 도장시설과 인접 도로변 VOCs의 시공간 분포 특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22, 38 (5), 687-701.
19. 창혁 김, 정호 김, 수진 노, 선엽 이, 수향 윤, 상신 이, 종성 박, and 종범 김, “PTR-ToF-MS를 이용한 석유화학단지 주변의 VOCs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21, 37 (5), 812-828.
20. 경원 이, 기홍 김, 한뉘 길, 부주 공, and 정민 박, “PTR-TOFMS를 이용한 농업잔재물 소각의 배출오염물질 연구”,
한국도시환경학회지,
2022, 22 (4), 229-237.
21. J. A. de Gouw, C. Warneke, D. D. Parrish, J. S. Holloway, M. Trainer, and F. C. Fehsenfeld, “Emission sources and ocean uptake of acetonitrile (CH2CN) in the atmospher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2003, 108 (D11), 4329.
22. A. Jordan, S. Haidacher, G. Hanel, E. Hartungen, L. Mark, H. Seehauser, R. Schottkowsky, P. Sulzer, and T. D. Mark, “A high resolution and high sensitivity protontransfer-reac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PTRTOF-MS)”,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Spectrometry,
2009, 286, 122-128.
23. 기준 김, 영삼 윤, 진선 이, 현주 박, 석준 서, 준헌 윤, 광설 석, and 경희 최, “PTR-TOF-MS를 이용한 화학사고 원인물질 분석연구-에폭시와 아크릴산 이상반응에 의한 사고 사례-”, 한국환경분석학회지, 2014, 17, 21-28.
24. 현주 박, 소영 김, 유덕 홍, 진석 한, 세웅 김, and 승만 안, “산림 대기간 자연적 휘발성유기화합물관측기법에 따른비교”, 한국환경분석학회지, 2014, 17, 10-20.
25. 종범 김, 세찬 박, 가혜 이, 필호 김, 수현 신, 창혁 김, 종성 박, 혜정 신, 정주 이, and 정호 김, “아라비카 커피 분말에서 방출되는 VOCs 특성”,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2022, 21 (3), 181-190.
26. 병훈 오, 진석 한, 혜승 김, 혜민 이, 춘상 이, 경찬 김, 다영 최, and 흥수 주, “PTR-ToF-MS를 이용한 국내 산업업종별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특성 연구”,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2023, 22 (2), 139-152.
27. J. de Gouw, and C. Warneke, “Measurement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earth’s atmosphere using proton-transfer-reaction 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 Reviews,
2006, 26 (2), 223-257.
28. K. Sekimoto, S.- M. Li, B. Yuan, A. Koss, M. Coggon, C. Warneke, and J. de Gouw, “Calculation of the sensitivity of proton-transfer-reaction mass spectrometry (PTR-MS) for organic trace gases using molecular proper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Spectrometry,
2017, 421, 71-94.
29. K. H. Bates, D. J. Jacob, S. Wang, R. S. Hornbrook, E. C. Apel, M. J. Kim, D. B. Millet, K. C. Wells, X. Chen, J. F. Brewer, E. A. Ray, R. Commane, G. S. Diskin, and S. C. Wofsy, “The global budget of atmospheric methanol: New constraints on secondary, oceanic, and terrestrial sourc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2021, 126 (4), e2020JD033439.
30. 광주 문, 영아 이, 규태 박, and 정민 박, “이동형 질량분석시스템을 사용한 국내 산단지역 대기 중 VOCs 농도 분포 특성 연구”,
한국도시환경학회지,
2022, 22 (4), 207-227.
31. M. Li, Q. Li, M. H. Nantz, and X.- A. Fu, “Analysis of carbonyl compounds in ambient air by a microreactor approach”,
ACS Omega,
2018, 3 (6), 6764-6769.
32. W. R. Stockwell, C. V. Lawson, E. Saunders, and W. S. Goliff, “A review of tropospheric atmospheric chemistry and gas-phase chemical mechanisms for air quality modeling”,
Atmosphere,
2011, 3 (1), 1-32.
33. H. B. Singh, D. O'Hara, D. Herlth, W. Sachse, D. R. Blake, J. D. Bradshaw, M. Kanakidou, and P. J. Crutzen, “Acetone in the atmosphere: Distribution, sources, and sink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94, 99 (D1), 1805-1819.
34. P. Khare, N. Kumar, K. M. Kumari, and S.S. Srivastava, “Atmospheric formic and acetic acids: An overview”,
Reviews of Geophysics,
1999, 37 (2), 227-248.
35. E. L. Mungall, J. P. D. Abbatt, J. J. B. Wentzell, G. R. Wentworth, J. G. Murphy, D. Kunkel, E. Gute, D. W. Tarasick, S. Sharma, C. J. Cox, T. Uttal, and J. Liggio, “High gas-phase mixing ratios of formic and acetic acid in the High Arctic”,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018, 18 (14), 10237-10254.
36. M. T. Limón-Sánchez, J. L. Arriaga-Colina, S. EscalonaSegura, and L. G. Ruíz-Suárez, “Observations of formic and acetic acids at three sites of Mexico Cit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02, 287, 203-212.
37. J. J. Schultz Tokos, S. Tanaka, T. Morikami, H. Shigetani, and Y. Hashimoto, “Gaseous formic acid acetic acids in the atmosphere of Yokohama, Japan”, Journal of Atmospheric Chemistry, 2004, 14, 85-94.
38. D. P. Moore, J. J. Remedios, and A. M. Waterfall, “Global distributions of acetone in the upper troposphere from MIPAS spectra”,
Atmospheric Chemistry Physics,
2012, 12, 757-768.
39. R. Atkinson, “Atmospheric chemistry of VOCs and NOx”,
Atmospheric Environment,
2000, 34, 2063-2101.
40. A. M. Yáñez-Serrano, A. C. Nölscher, E. Bourtsoukidis, B. Derstroff, N. Zannoni, V. Gros, M. Lanza, J. Brito, S. M. Noe, E. House, C. N. Hewitt, B. Langford, E. Nemitz, T. Behrendt, J. Williams, P. Artaxo, M. O. Andreae, and J. Kesselmeier, “Atmospheric mixing ratios of methyl ethyl ketone (2-butanone) in tropical, boreal, temperate and marine environment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016, 16 (17), 10965-10984.
41. W. Laowagul, H. Garivait, W. Limpaseni, and K. Yoshizumi, “Ambient air concentrations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in Bangkok, Thailand during April-August in 2007”,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2008, 2 (1), 14-25.
42. 성옥 백, 성렬 김, and 배갑 김, “도시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변동 및 영향인자”, 대한환경공학회지, 2002, 24 (8), 1391-1404.
43. 성옥 백, 수현 김, and 미현 김, “포항과 구미의 대규모 산단지역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환경독성학회지, 2005, 20 (2), 167-178.
44. 성옥 백, 영교 서, and 종호 김, “대규모 석유화학산단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분포 특성: 대산지역을 대상으로”,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20, 36 (1), 32-47.
45. 운선 최, 세경 장, 철우 이, 채형 박, 문수 김, 명기 송, and 민석 배, “창원시 산단지역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원소성분 거동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20, 36 (3), 293-308.
46. E. Tsiligiannis, J. Hammes, C. M. Salvador, T. F. Mentel, and M. Hallquist, “Effect of NOx on 1,3,5-trimethylbenzene (TMB) oxidation product distribution and particle formation”,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019, 19 (23), 15073-15086.
47. T. W. Andreae, M. O. Andreae, H. G. Bingemer, and C. Leck, “Measurements of dimethyl sulfide and H
2S over the western North Atlantic and the tropical Atlantic”,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93, 98 (D12), 23389-23396.
48. J. Susaya, K. - H. Kim, N. - T. Phan, and J. - C. Kim, “Assessment of reduced sulfur compounds in ambient air as malodor components in an urban area”,
Atmospheric Environment,
2011, 45 (20), 3381-3390.
49. C. Liu, and K. Shi, “A review on methodology in O
3-NOx-VOC sensitivity study”,
Environmental Pollution,
2021, 291, 118249.
50. L. I. Kleinman, “Ozone process insights from field experiments - part II: Observation-based analysis for ozone production”,
Atmospheric Environment,
2000, 34 (12-14), 2023-2033.
51. 장표 정, and 숙진 유,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질소산화물의 오존생성 기여도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010, 32 (2), 209-218.
52. S. Kim, T.- Y. Kim, S.- M. Yi, and J. Heo, “Source apportionment of PM
2.5 using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MF) at a rural site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018, 214, 325-334.
53. 혜영 박, 현수 박, 보람 이, 희진 최, 학림 김, 희정 임, 찬오 박, 익산 김, 귀환 박, 두영 전, and 민석 배, “수용모델을 이용한 광양만권 주거지역 대기 중 초미세먼지 발생원 기여도 평가(II)”,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2022, 25 (1), 18-32.